설치 방법 (PC & 스마트폰)

불량뉴스백신은 PC와 스마트폰에서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PC

스마트

PC (윈도우, 맥, 리눅스)의 크롬, 크로미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네이버 웨일 브라우져에서

크롬 웹스토어 모습
혹은 구글에서 "불량뉴스백신"을 검색하시면, 가장 위에 나오는 것이 설치 사이트입니다.
구글에서 불량뉴스백신 검색 결과

PC (윈도우, 맥, 리눅스)의 파이어폭스에서

파이어폭스 애드온 사이트 (https://addons.mozilla.org/ko/firefox/addon/%EB%B6%88%EB%9F%89%EB%89%B4%EC%8A%A4%EB%B0%B1%EC%8B%A0/) 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애드온 사이트 모습
혹은 구글에서 "firefox addon 불량뉴스백신"을 검색하시면 제일 처음 설치 링크가 나옵니다.

PC (맥)의 사파리에서

맥 앱스토어에서 "불량뉴스백신"을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맥 앱스토어에서의 앱 이름은 WebMemoShare가 맞습니다.
설치 후 naver, daum에서 불량뉴스백신 아이콘이 검은색이 아닌 파란색이어야 동작합니다.
"불량뉴스백신" 앱 활성화 전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맥 사파리에서 Daum이나 Naver를 방문하여도 회색으로 앱 모습이 주소창 옆에 나타납니다. 기사 옆에도 제보 정보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먼저 Daum을 방문하여 "불량뉴스백신" 앱을 클릭하여 활성화 합니다.
Always Allow on This Website는 Daum 사이트에서 "불량뉴스백신"이 동작하는 것을 허용해 주는 것입니다.
이 경우 Naver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Naver를 방문하여 동일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Always Allow on Every Website..." 의 경우에는 한 번만 승인을 해도 됩니다.
"불량뉴스백신"이 맥용 사파리에서 제대로 동작하면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주소창 옆의 앱 아이콘이 파란색으로 변하였고, 기사 옆에 제보가 표시되기 시작합니다.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에서

구글플레이에서 kiwi browser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kiwi browser에서 주소창에 "불량뉴스백신"이라고 적으면, google 검색 결과가 나옵니다.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여 "불량뉴스백신"을 설치합니다.
설치가 잘 되었는지 여부는 kiwi browser에서 "더 보기" 버튼을 누르고,
"확장프로그램"을 누르면
확장 프로그램 목록에 불량뉴스백신이 보이고, 또한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불량뉴스백신"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kiwi browser에서 Naver(https://m.naver.com/)와 Daum(https://m.daum.net/)을 방문하여 기사에 "제보" 정보가 잘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바탕 화면에 한 번에 네이버나 다음을 방문할 수 있는 아이콘을 만듭니다.
먼저 kiwi browser에서 Daum(https://m.daum.net/)을 방문한 상태에서, "더 보기" 버튼 (점3개 아이콘)을 누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홈 화면에 추가"를 선택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자동으로 추가"를 선택합니다. 앱 이름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저는 Daum by 불량뉴스백신으로 앱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Daum 아이콘이 생기게 됩니다. 앞으로 이 아이콘만 누르면 Daum에 접속할 수 있으며, 불량뉴스백신도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Naver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Naver 아이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아이폰, 아이패드)에서

먼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의 iOS 버젼이 15.0 이상인 것을 확인합니다.
iOS version은 "설정 > 일반 > 정보 > 소프트웨어 버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iOS version이 15.0보다 낮으면 "설정 > 일반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서 iOS 업데이트를 해 주십시오.
iOS15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앱스토어에서 "불량뉴스백신"을 검색하여 설치하십시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자동으로 앱스토어로 이동합니다.
"불량뉴스백신" 설치 후, 사용하기 위해서 "설정 > Safari > 확장 프로그램 > 불량뉴스백신"을 켜 주시고, daum.net과 naver.com에서 "허용"으로 설정해 주십시오.
이제 Safari browser에서 Daum(https://m.daum.net/)과 Naver(https://m.news.naver.com/)를 방문하면 "불량뉴스백신"이 잘 동작할 것입니다. 아이패드 safari에서는 https://www.daum.net 이나 https://news.naver.com/ 를 방문하시면 잘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Daum이나 Naver 자체 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Safari를 통해서 Daum, Naver를 방문해야 합니다.
이제 Daum과 Naver를 한 번에 갈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을 만듭니다.
먼저 safari browser에서 Daum(https://m.daum.net/)을 방문하여 "불량뉴스백신"이 잘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내보내기" 버튼을 누릅니다.
"내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이 때 "홈 화면에 추가"를 선택합니다.
필요하면 Daum이라고 적혀 있는 글자를 바꾸고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바탕화면에 Daum이 생겼습니다. 앞으로 Daum 아이콘을 누르면 "불량뉴스백신"이 동작하는 Dau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aver의 경우도 Daum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바탕화면에 Naver 아이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애플 제품에 설치방법을 더 잘 설명한 사이트가 있어 소개합니다.

애플 제품에 불량뉴스백신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시면, 링크도 참고해 보세요.